[물환경] 폐수 총유기탄소량 낮추는 담수 미생물 5종 혼합제제 개발
페이지 정보
작성자 신안환경연구소 조회742회 작성일 22-01-10 20:33본문
▷ 난분해성 유기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 제제 개발 및 특허출원
▷ 담수 미생물을 활용해 산업현장에서 총유기탄소량 저감 효과확인
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'난분해성 유기탄소'를 분해하는 담수 미생물 5종 혼합제제를 최근 개발하여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.
'난분해성 유기탄소'란 페놀, 톨루엔 등 화학구조상 탄소원자 화합물을 기본골격으로 갖는 화합물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자연적인 상태에서 분해되기가 어려워 폐수를 정화할 때 비용이 많이 든다.
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7년부터 페놀류 등 난분해성 유기탄소를 저감하는 호기성* 미생물 42종을 낙동강 등 국내 담수 환경에서 찾아내고 이 중에서 분해능력이 뛰어난 담수 미생물 5종을
선별해 미생물 혼합제제를 개발했다.
* 산소를 호흡하여 유기탄소를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삼는 미생물
연구진은 미생물 5종 혼합제제 4.8㎏을 하루 40톤의 산업폐수를 정화하는 수질오염방지시설에 투입하고 14일 이후 총유기탄소량(TOC) 저감 효과를 확인했다.
저감 효과를 확인한 결과, 최고 80mg/L이던 총유기탄소량이 10일 동안 평균 20mg/L 이하로 낮아졌다.
이는 '물환경보전법' 상의 폐수배출시설의 총유기탄소량 배출허용기준인 25~75mg/L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이다.
※ 폐수배출시설은 2022년부터 사업장에 따라 총유기탄소량을 25~75mg/L 이하로 유지해야 함(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, '19.10.)
▷ 담수 미생물을 활용해 산업현장에서 총유기탄소량 저감 효과확인
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'난분해성 유기탄소'를 분해하는 담수 미생물 5종 혼합제제를 최근 개발하여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.
'난분해성 유기탄소'란 페놀, 톨루엔 등 화학구조상 탄소원자 화합물을 기본골격으로 갖는 화합물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자연적인 상태에서 분해되기가 어려워 폐수를 정화할 때 비용이 많이 든다.
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7년부터 페놀류 등 난분해성 유기탄소를 저감하는 호기성* 미생물 42종을 낙동강 등 국내 담수 환경에서 찾아내고 이 중에서 분해능력이 뛰어난 담수 미생물 5종을
선별해 미생물 혼합제제를 개발했다.
* 산소를 호흡하여 유기탄소를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삼는 미생물
연구진은 미생물 5종 혼합제제 4.8㎏을 하루 40톤의 산업폐수를 정화하는 수질오염방지시설에 투입하고 14일 이후 총유기탄소량(TOC) 저감 효과를 확인했다.
저감 효과를 확인한 결과, 최고 80mg/L이던 총유기탄소량이 10일 동안 평균 20mg/L 이하로 낮아졌다.
이는 '물환경보전법' 상의 폐수배출시설의 총유기탄소량 배출허용기준인 25~75mg/L 이하를 만족시키는 것이다.
※ 폐수배출시설은 2022년부터 사업장에 따라 총유기탄소량을 25~75mg/L 이하로 유지해야 함(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, '19.10.)
첨부파일
- 폐수 총유기탄소량 낮추는 담수 미생물 5종 혼합제제 개발보도자료 낙동강 1.5.hwp (1.5M) 9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1-10 20:33:3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