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물환경] ‘학교 먹는 물 안전성 강화’ 나선다
페이지 정보
작성자 신안환경연구소 조회666회 작성일 22-02-15 22:29본문
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학교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 해소 및 수질 안전성 강화를 위해 찾아가는 수질검사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.
대상은 태안&홍성군 소재 초&중&고등학교 78곳과 도내 지하수 음용학교 30곳이다.
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달부터 매분기 먹는 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, 그 결과를 해당 학교 및 교육지원청, 교육청에 통보할 계획이다.
2분기에 실시하는 지하수 음용학교 정밀 수질검사는 자연방사성물질(우라늄, 라돈)을 추가 검사해 지하수 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.
검사항목 중 음용지하수는 먹는 물 수질기준 46개 항목이며, 저수조는 6개 항목, 급수관은 7개 항목이다. 정수기 및 급수기 등은 총대장균군과 탁도
2개 항목으로 먹는 물로서의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.
부적합한 경우는 음용 중단을 신속히 통보하고, 소독 등 시설개선 조치 후 재검사를 실시해 적합 판정을 받으면 먹는 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.
아울러, ‘먹는 물 수질기준 안내서’를 배포해 먹는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유해 물질의 상식과 올바른 음용법 등 정보를 제공한다.
지난해 실시한 보령&당진지역 등 125개 학교의 수질검사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, 일부 부적합한 경우는 시설폐쇄 및 상수도 인입으로 먹는 물 안전성을 강화했다.
대상은 태안&홍성군 소재 초&중&고등학교 78곳과 도내 지하수 음용학교 30곳이다.
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달부터 매분기 먹는 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, 그 결과를 해당 학교 및 교육지원청, 교육청에 통보할 계획이다.
2분기에 실시하는 지하수 음용학교 정밀 수질검사는 자연방사성물질(우라늄, 라돈)을 추가 검사해 지하수 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.
검사항목 중 음용지하수는 먹는 물 수질기준 46개 항목이며, 저수조는 6개 항목, 급수관은 7개 항목이다. 정수기 및 급수기 등은 총대장균군과 탁도
2개 항목으로 먹는 물로서의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.
부적합한 경우는 음용 중단을 신속히 통보하고, 소독 등 시설개선 조치 후 재검사를 실시해 적합 판정을 받으면 먹는 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.
아울러, ‘먹는 물 수질기준 안내서’를 배포해 먹는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유해 물질의 상식과 올바른 음용법 등 정보를 제공한다.
지난해 실시한 보령&당진지역 등 125개 학교의 수질검사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, 일부 부적합한 경우는 시설폐쇄 및 상수도 인입으로 먹는 물 안전성을 강화했다.
첨부파일
- 220214_학교 먹는 물 안전성 강화 나선다보건환경연구원_최종.hwp (223.0K) 8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2-15 22:29: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