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후/대기] 환경위성-인공지능으로 파악한 지상 미세먼지 영상 공개
페이지 정보
작성자 신안환경연구소 조회825회 작성일 22-01-05 19:41본문
▷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대기 전체층 관측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지상 초미세먼지(PM2.5) 및 미세먼지(PM10) 농도 분포 추정
▷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지상 농도를 한눈에 알 수 있어 지상 대기측정망이 부족한 사각지대의 미세먼지 현황 파악 및 대응에 효과적
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21년 12월 30일부터 환경위성센터 누리집을 통해 정지궤도 환경위성(천리안위성 2B호)에서 관측된 에어로졸* 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변환한 '지상 초미세먼지(PM2.5) 및 미세먼지(PM10) 추정농도 영상'을 공개한다.
* 대기 중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상의 입자상 물질의 총칭으로, 미세먼지는 대표적인 에어로졸임
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에서는 대기 전체층을 관측하는 환경위성 자료에 기상 등 다양한 자료와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국민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지상 미세먼지 농도로 변환하는 기법을 개발한 뒤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를 산출하고 있다.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는 21년 3월에 8종*, 21년 10월에 5종**을 추가하여 총 13종의 위성 기본산출물을 공개했고, 21년 11월에는 위성 기본산출물에 다양한 정보와 기술을 융합하여 산출한 '에어로졸 이동량 영상'을 공개한 바 있다.
* 에어로졸, 전층 오존·이산화황(특이사례)·이산화질소 농도, 유효운량, 비타민합성·식물반응·DNA손상 지수
** 에어로졸 지수(자외선,가시광선), 단일산란알베도, 구름중심기압, 구름복사비율, 자외선지수
국립환경과학원은 추정농도 산출기법을 계속 발전시켜 내년부터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이산화질소 등 다른 대기오염물질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.
▷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지상 농도를 한눈에 알 수 있어 지상 대기측정망이 부족한 사각지대의 미세먼지 현황 파악 및 대응에 효과적
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21년 12월 30일부터 환경위성센터 누리집을 통해 정지궤도 환경위성(천리안위성 2B호)에서 관측된 에어로졸* 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변환한 '지상 초미세먼지(PM2.5) 및 미세먼지(PM10) 추정농도 영상'을 공개한다.
* 대기 중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상의 입자상 물질의 총칭으로, 미세먼지는 대표적인 에어로졸임
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에서는 대기 전체층을 관측하는 환경위성 자료에 기상 등 다양한 자료와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국민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지상 미세먼지 농도로 변환하는 기법을 개발한 뒤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를 산출하고 있다.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는 21년 3월에 8종*, 21년 10월에 5종**을 추가하여 총 13종의 위성 기본산출물을 공개했고, 21년 11월에는 위성 기본산출물에 다양한 정보와 기술을 융합하여 산출한 '에어로졸 이동량 영상'을 공개한 바 있다.
* 에어로졸, 전층 오존·이산화황(특이사례)·이산화질소 농도, 유효운량, 비타민합성·식물반응·DNA손상 지수
** 에어로졸 지수(자외선,가시광선), 단일산란알베도, 구름중심기압, 구름복사비율, 자외선지수
국립환경과학원은 추정농도 산출기법을 계속 발전시켜 내년부터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이산화질소 등 다른 대기오염물질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.
첨부파일
- 환경위성-인공지능으로 파악한 지상 미세먼지 영상 공개12.30.hwp (6.6M) 9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1-05 19:41:30
관련링크
- https://nesc.nier.go.kr/ 2657회 연결